본문 바로가기

부동산공부17

자녀 세대분리 하는 방법 주의점 청약 자격을 위해서 혹은 세금을 절세하기 위해서 세대 분리를 어떻게 하면 세금이 줄어들고 , 세금을 더 많이 내는지 사례를 통해서 알아봅니다. 세대분리는 어떻게 준비를 해야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자녀 세대분리 하는 방법 세대 분리가 왜 요즘 이슈가 되고 있냐면 주택 가격은 올라요. 그런데 집을 더 사기에는 중과세가 있고 아내 명의로는 못 사겠다. 우리 자녀라도 사주자. 그랬더니 자녀한테 주택을 하나 더 사주고 싶은 마음 있어서 세대 분리를 해야지만 다주택이 안 되고 각각 1 주택으로 갈 수가 있기 때분입니다. 세대 분리는 세 가지가 중요한데요. 첫 번째는 세대 분리 시기가 중요합니다. 세대 분리는 취득세 보유세 양도세에서 세대 분리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두 번째는 세대 분리 요건이 중요합니.. 2023. 7. 2.
2023 청년 이사비 지원 사업 + 중개보수비 까지 대한민국 청년여러분들 열심히 일하고 삶을 사느라 힘드시죠? 게다가 타 지역에서 일하게 되면서 이사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정부에서 대한민국 청년 이사비 지원 사업을 한다고 합니다. 목차 2023 청년이사비 지원 사업 청년 이사비 지원 사업은 청년들이 부동산 거래를 할 때 부동산 중개보수인 이사비를 지원해주는 사업입니다. 본 정책은 작년에 서울을 기점으로 시작됐지만 올해부터 경북 영주시, 광주광역시, 부산 수영구 등에서도 신청이 가능한데요. 나라에서 진행하는 정책 사업인 만큼 전체적인 맥락은 비슷하지만 지역별로 기준이나 지원 내용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지원 내용은 집을 계약할 때 발생한 중계비나 이사 진행 시 차량 대여비, 포장비, 종이 가구 구입비 등을 최대 40만 원 한도 내에서 실비로 지원.. 2023. 6. 27.
묵시적 갱신 기간 해지 3개월 전세, 월세 사시는 분들은 계약만료기간이 다가오면 임차인에게 연장할 것인지 계속 거주할 것인지 꼭 알려야 합니다. 하지만 알리지 않고도 계약이 성립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것을 묵시적 갱신이라 합니다. 오늘은 묵시적 갱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묵시적 갱신이란? 임대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까지의 기간 동안 임차인에게 계약갱신 거절, 계약조건 변경등을 통지하지 않는 경우 만료가 됐을 때 전 임대차계약 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자동연장'되는 것을 말한다. 만일 갱신거절의 통지가 없다면 임대차계약은 동일한 조건으로 갱신된 것으로 간주하는데 이를 묵시적 갱신이라 표현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묵시적 갱신 (한경 경제용어사전) 묵시적 갱신 3개월 임차인은 계약갱신요구권을 1.. 2023. 6. 26.
세입자가 집을 안보여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세입자가 손님이 올 때마다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집 보여주는데 협조를 하지 않습니다. 집이 팔리지 않는다면, 보유하고 있는 현금이 없어서 전세 보증금을 돌려주기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세입자가 집을 안 보여 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세입자가 집을 안보여줄 때 질문 ) 전세 계약 만기까지 집이 팔리지 않았는데, 세입자가 전세 보증금 반환을 요청하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전세 보증금이 꽤 높아 대출받는 것도 여의치 않은 상황입니다. 답변) 다음 세입자를 구하기 위해 협조하는 것은 제때 보증금을 돌려받기 위해 임차인이 하는 감수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다만 실질적으로 그런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계약만기가 되면 당연히 보증금을 돌려받고 나가면 되기 때문입니다. 질문처럼 임대인이 보증금을 구하지 못해 .. 2023. 6. 25.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방법 2030 세대들이 꼭 주목해야 할 청년도약계좌가 드디어 다가오는 6월에 가입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의 신청조건과 혜택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고 가입방법과 신청 절차와 준비서류까지 관련 주요 정보들을 정리해 드리고자 합니다. 정부지원금 놓치지 마시고 꼭 챙겨보세요! 1. 청년도약계좌 내용정리 청년 도약계좌를 한 문장으로 요약하자면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이라고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올해 6월 중에 출시 예정이고 계좌 가입자가 매월 70만원 한도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만기5년에 상품이고요, 5년간 매달 납입하면 만기시 전부 지원금과 금융기관의 이자를 더한 금액을 수령하는구조입니다. 2. 혜택 가장 관심이 많으실듯한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에 관하여 설명해 .. 2023.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