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공부

2023 청년 이사비 지원 사업 + 중개보수비 까지

by 부공스 2023. 6. 27.

대한민국 청년여러분들 열심히 일하고 삶을 사느라 힘드시죠? 게다가 타 지역에서 일하게 되면서 이사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정부에서 대한민국 청년 이사비 지원 사업을 한다고 합니다.

 

목차



    2023 청년이사비 지원 사업

    2023 청년 이사비 지원2023 청년 이사비 지원2023 청년 이사비 지원

     

    청년 이사비 지원 사업은 청년들이 부동산 거래를 할 때 부동산 중개보수인 이사비를 지원해주는 사업입니다. 본 정책은 작년에 서울을 기점으로 시작됐지만 올해부터 경북 영주시, 광주광역시, 부산 수영구 등에서도 신청이 가능한데요. 나라에서 진행하는 정책 사업인 만큼 전체적인 맥락은 비슷하지만 지역별로 기준이나 지원 내용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지원 내용은 집을 계약할 때 발생한 중계비나 이사 진행 시 차량 대여비, 포장비, 종이 가구 구입비 등을 최대 40만 원 한도 내에서 실비로 지원해 줍니다. 하지만 택배비나 개인 렌트비, 청소비 등은 지원 항목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신청방법


    신청 방법은 서울시의 경우 청년 몽땅 정보통 광주광역시의 경우에 청년 지원센터 부산 수영구의 경우 수영구청 사이트에서 온라인 신청으로 진행하시면 되며 영주시의 경우 해당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시청 일자리 경제과에 방문하여 신청하시면 됩니다. 

    청년 몽땅 정보통 바로가기 광주 청년 지원센터 바로가기 수영구청 사이트 바로가기


    신청 기한은 서울시의 경우 6월 9일 광주광역시 12월 10일 부산 수영구 12월 15일 영주시 1월 20일로 서울시에 해당되시는 분들은 전화해보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해당 사업에 신청하시게 되면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매우 많습니다.
    대부분의 서류는 정부 24나 위택스 홈페이지를 통해 출력이 가능합니다.

    정부24 바로가기 위택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지출 증빙서류의 경우 간이 영수증이 인정되지 않을 수도 있으니 이사 업체에 반드시 증빙서류 요청하시는 것 잊지 마셔야겠습니다. 

     

     

    부산 수영구, 영주시, 광주시

    2023 청년 이사비 지원2023 청년 이사비 지원2023 청년 이사비 지원


    부산 수영구의 경우에도 청소비가 포함되지 않고 최대 40만 원 한도 내에서 지원된다는 점이 서울시와 비슷합니다.
    반면 영주시와 광주광역시의 경우에는 중계 및 이사비 뿐만 아니라 입주청소비까지 지원 항목에 포함이 됩니다. 또한 금액도 최대 50만 원까지 지원이 된다고 합니다. 

     

    신청 후 본 사업에 선정이 되면 해당되는 비용들을 개별 또는 합산하여 청구하면 실비로 지원되기 때문에 합계 금액이 20만 원이 나왔다면 20만 원, 50만 원이 나왔다면 최대 40만 원이 추후에 입금이 되는 것입니다. 

     

     

    지원대상

    2023 청년 이사비 지원2023 청년 이사비 지원2023 청년 이사비 지원

     

     

    지원 대상의 경우 청년 사업인 만큼 대부분의 지역에서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를 기준으로 선정하고 있고요. 
    부산 수영구의 경우에만 유일하게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를 기준으로 대상을 선정한다고 합니다.

    전입 날짜 기준의 경우에도 지역별로 상이한 점이 있는데요. 
    서울시는 22년 11월 17일 이후 서울로 전입 또는 이사를 완료한 청년 가구로 부모, 배우자, 형제자매 등 동거인이 있어도 신청이 가능한 반면, 다른 지역들의 경우 23년 1월 1일 이후에 전입신고 및 이사가 진행됐어야 하고요. 
    그중에서도 광주광역시와 부산, 수영구는 1인 가구 청년만 조건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추가로 영주시는 전월세뿐만 아니라 매수의 경우에도 조건에 충족된다는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자격요건

    2023 청년 이사비 지원2023 청년 이사비 지원2023 청년 이사비 지원

     


    지원 대상에 해당이 되신다면 이제 재산 및 소득 조건을 살펴보셔야겠죠 작년의 경우 가구당 기준 중위소득이 120% 이하여야 선정이 가능했지만, 올해는 전 지역이 150% 이하로 기준이 조금 완화됐습니다. 
    소득 측정 방법은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을 기준으로 계산되는데요. 
    이 말은 신청인의 건강보험이 피부양자, 즉 부모 등의 세대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부양자의 고지금액 기준으로 적용된다는 것이죠.

    참고로 23년 150% 이하의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 기준은 1인 가구를 기준으로 직장가입자의 경우 약 11만 원, 지역 가입자의 경우 5만 원 정도 되며 이는 급여 명세서의 항목이나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료 납부 내역서를 통해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재산 조건의 경우 기본적으로 청년 신청자 본인이 무주택자여야 하는데요. 영주시의 경우에 해당 사항이 없다고 합니다.

     

     

    지원받는 주택유형

    2023 청년 이사비 지원2023 청년 이사비 지원2023 청년 이사비 지원


    마지막으로 이사 갈 집의 거주 유형을 확인해 보셔야 하는데요. 작년 같은 경우에는 임차 보증금이 5천만 원 이하, 월세 40만 원 이하의 조건을 모두 충족했어야 했지만 올해 같은 경우에는 서울시는 거래 금액이 2억 원 이하인 전월세 주택이면 됩니다. 


    여기서 거래금액은 월세액의 100을 곱한 값에 임차 보증금을 더한 금액이 되겠고요. 거래 금액이 5천만 원 미만인 경우 월세액의 70을 곱한 값에 임차 보증금을 더한 값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부산, 수영구는 별도로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의 금액을 충족해야 한다고 하네요. 참고로 본 사업의 경우 총 5천 명을 대상으로 지원 사업 예산 범위 내의 인원을 선정한다고 하는데요. 적격자의 지원액이 예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사회적 약자 및 주거 취약 청년을 우선 선발 후에 소득이 낮은 순으로 선정한다고 합니다. 

     

     

     

    2023 청년 이사비 지원